[9.9.수.15시_이후]_2016년도_보건복지부_예산안.hwp 
201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금년 대비 3.9% 증가한 55.6조원
 
  
2016년 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규모  | 
    
□ 지난 9월8일(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 보건복지부 소관 2016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의 총지출 규모는 55.6조원 수준
    
○ 정부 전체 총지출(387조원)의 14.4% 수준이며, 복지분야 총지출(122.9조원) 중에서는 45.2%를 차지
    
<‘16년 정부 전체․복지분야․복지부 총지출 규모>
(단위 : 조원)
      | ’15년(A)  | ’16년(안)(B)  | 증감(B-A)  |       | |
%  | |||||
o 정부전체 총지출(a)  | 375.4  | 386.7  | 11.3  | 3.0%  | |
o 복지분야 총지출(b)  | 115.7  | 122.9  | 7.2  | 6.2%  | |
o 복지부 총지출(c)  | 53.5  | 55.6  | 2.1  | 3.9%  | |
▪복지부 비율  | c/a  | 14.3%  | 14.4%  |       |       | 
c/b  | 46.2%  | 45.2%  |       |       | |
    
    
□ ‘16년 복지부 총지출은 ‘15년(53.5조원) 대비 3.9%(2.1조원↑) 증가하였고, 타부처로 이관된 사업예산(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1조 2,426억원)을 고려할 경우 6.4% 수준 증가
    
○ 정부 총지출 증가율(3.0%) 및 복지분야 총지출 증가율(6.2%)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 (장애인) 장애인에 대해 일자리 제공, 발달장애인 가족휴식 지원 및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소득을 보장하고 사회참여와 일상생활 지원
    
○ 장애인일자리 공공형 일자리(14,879명) 제공 및 인건비(8.1%,최저임금 수준) 지원
    
○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인원확대(57,500명→61,000명) 및 활동보조인 시간당 급여 인상(중증3%, 최중증 5%)
    
○ 발달장애인 가족휴식 지원 예산 확대(5억원→10억원)
    
○ 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치료시설 설치․운영(신규 2개소, 8억원)
    
○ 장애인거주시설 운영 지원 인원(24,654 → 24,766명) 확대 및 지원단가(25,888 → 26,223천원/년) 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