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억눌렸던 특수교육지도사 노동권...“참지 않겠다”

by ADMIN posted Mar 1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은 특수교사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아래 장특법)에 규정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존재가 있기에 특수교육이 온전해 질 수 있다. 수업시간 지원뿐만 아니라, 식사 및 용변 보조, 이동지원 등 이들이 해내고 있는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들 ‘특수교육지도사’들은 특수교육 현장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지만, 열악한 처우와 고용불안으로 인한 불만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아래 교육공무직본부)는 8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고 특수교육지도사들의 노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알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약 250여 명의 특수교육지도사가 참석해 이들의 요구가 얼마나 간절한지를 실감케 했다. 이들은 토론회 내내 자신들이 처한 근무여건의 열악함을 토로하며 개선의 시급함을 강조했다.


14154494763393.jpg


저임금에 골병까지 드는 특수교육지도사


미술 시간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휘두른 칼에 상처를 입기도 하고,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던진 공에 눈을 맞기도 합니다. 늘 긴장상태로 근무해야 함에 온 몸은 근골격계 위험 상태로 파스로 포장되고, 상처투성이가 됩니다. 아픈 몸으로 매번 반복되는 돌발 상황에 특수교육지도사는 몸을 던집니다. (경북 특수교육지도사 한○○ 씨)


1교시부터 아이들의 손을 잡고 휠체어를 밀고 기저귀를 갈고 똥 묻은 팬티를 빨기 시작해서 한 시간도 쉬는 시간 없이 7교시를 마치면 오후 3시. (게다가) 내가 맡은 학생이 돌봄교실과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신청했습니다. 미술과 클레이 공예에 가서 한 시간, 돌봄교실에 가서 한 시간 지원하고 오면 5시 퇴근 시간입니다. 나는 무쇠 팔, 무쇠 다리, 지칠 줄 모르는 강철 체력 인조인간 로봇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휴게시간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는 노동자입니다. (강원 특수교육지도사 정○○ 씨)


밥값 안 주는 것도 서러운데 다쳐도 내 돈 주고 병원 가야 하는 신세입니다. 아이들이 깨물고 꼬집고 직접 부딪히는 건 실무원인데 우리에게 위험수당 안 준다는 건 말이 안 됩니다. 똑같이 애들 돌보는 일인데 급여 차이 나는 건 그렇다 쳐도 밥값도 안주고 위험수당도 안 주고, 거기에 성과급을 특수교사들은 몇 백씩 주는데 실무원은 0원. (모 지역 특수교육지도사 △△씨)


교육공무직본부에 따르면, 전국의 특수교육지도사는 2014년 현재 총 7875명이고, 매년 그 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이들 중 여성이 전체의 96.7%에 달한다. 고용 형태는 무기계약직이 84.3%, 기간제 13.2%이다. 최근 교육감 직접고용이 실시되면서 무기계약직 비율이 늘었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한다. 교육감 직접고용으로 노동법상 사용자는 교육감이지만, 여전히 장애학생 감소 등을 이유로 해당 학교에서 해고되거나 퇴직을 강요당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들은 “학교 사정으로 인해 고용관계가 단절되지 않도록 교육감이 책임지고 배치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최저임금 수준에 그치는 저임금 체계도 문제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2014년 기준 최저임금 시금 5210원보다 불과 740원 높은 5950원을 적용받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제조부문 단순노무종사원 기본급 하루 노임단가 6만3326원과 비교해도 한참 낮은 것(4만7600원)이다.


여기에 정규직에게는 매달 13만 원의 식대가 지급되지만 특수교육지도사에게는 해당되지 않고, 성과상여금도 전혀 없다. 또한 근속년수에 따른 호봉도 적용되지 않아 10년 이상 일해도 월급이 150만 원을 넘지 못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6월 한 달간 교육공무직본부가 전국 652명의 특수교육지도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업무상 부상 경험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총 395명(60.6%)에 달했지만, 산재처리를 받았다고 답한 사람은 8명(2.3%)에 불과했다.


게다가 이들의 직무상 명칭 또한 여전히 혼란스럽다. 장특법에서는 이들을 ‘특수교육 보조인력’이라고 지칭할 뿐 정확한 직무명칭을 정하지 않았다. 경기·강원·전북 지역만이 ‘특수교육지도사’라는 명칭을 쓰고 있는 반면, 그 외 지역은 ‘특수교육실무원’ 또는 ‘특수교육보조원’이라는 명칭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교육공무직본부는 직무만족도를 저하할 수 있는 ‘보조인력’, ‘보조원’ 등의 명칭을 사용하지 말고, ‘특수교육지도사’로 통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14154494809150.jpg


20일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파업 예고


이처럼 열악한 처우의 개선을 요구하기 위해 특수교육지도사를 포함한 교육공무직본부 소속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오는 20일 전국에 걸쳐 파업에 나선다.


학교비정규직은 특수교육 분야 외에도 급식실, 교무실, 행정실, 과학실, 전산실, 도서관, 돌봄교실, 학교시설물 관리 및 안전관리 등 학교운영에 꼭 필요한 업무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규 교직원의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사실상 유령과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교육공무직본부는 파업투쟁을 통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식비 지급, 방학 중 생계 대책 마련, 성과상여금 지급, 전 직종에 수당 지급 등을 요구할 계획이다.




  1. 장애성인 ‘맞춤형’ 교육? “예산, 공간 지원 필요해”

    기존 장애인야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해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려면 장애 유형, 일상생활 기술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해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
    Date2015.03.13 Reply0 Views411 file
    Read More
  2. 억눌렸던 특수교육지도사 노동권...“참지 않겠다”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은 특수교사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아래 장특법)에 규정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존재가 있...
    Date2015.03.13 Reply0 Views768 file
    Read More
  3. 특수교육 지원 받는 장애영아, 5%도 못 미쳐

    장애영아에 대한 특수교육 지원이 사실상 전무한 현실이 드러났다. 이에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새정치민주연합...
    Date2015.03.13 Reply0 Views548 file
    Read More
  4. 누리과정 갈등에 특수교육 된서리, 부모·당사자 ‘뿔났다’

    만 3~5세 아동의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에 대한 부담 탓에 서울시교육청의 각종 교육복지 예산이 삭감될 위기에 처하자, 장애아동 부모와 장애인 당사자...
    Date2015.03.13 Reply0 Views466 file
    Read More
  5. 특수교사 법정정원 확보, 정부는 약속을 지켜라!

    정부가 애초 대선공약으로 약속했던 것과는 달리 특수교사 충원 계획을 대폭 축소한 것으로 알려지자, 전국 특수교육과 대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
    Date2015.03.13 Reply0 Views459 file
    Read More
  6. 박근혜 정부, ‘매년 특수교사 1500명 채용’ 공약도 파기?

    박근혜 정부가 매년 특수교사 1500명을 채용하겠다는 약속마저 파기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특수교육과대학생연합회(아래 특대연), 전국유아특수교육과...
    Date2015.03.13 Reply0 Views451 file
    Read More
  7. 가장 가난한 사람 골라내는 ‘가짜 복지’ 넘어서려면?

    "내 아이의 점심을 내가 책임지는 것은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바로 개인의 독립이며 자존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일은 내가 하는 것이지 국가가 대...
    Date2015.03.13 Reply0 Views340 file
    Read More
  8. 서북청년단으로부터 광화문 광장을 지켜야 할 이유

    얼마 전 독일의 반이슬람단체 ‘페기다’의 대표가 히틀러로 분장한 사진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비난에 몰려 사퇴한 일이 있었다. 물론 분장만이 문제는 ...
    Date2015.03.13 Reply0 Views407 file
    Read More
  9. 인권위, ICC 심사 앞두고 토론회 열었지만 ‘썰렁’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가 올해 3월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 등급 심사를 앞두고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으나, 대다수 시...
    Date2015.03.13 Reply0 Views291 file
    Read More
  10. ICC 권고 수용한 인권위법 개정안, 여전히 ‘부족해’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 상반기 심사를 앞두고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가 인권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내놨으나 시민단체는 여전히 ICC ...
    Date2015.03.13 Reply0 Views28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