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새 책!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by 갈무리 posted Nov 12,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인간은 안다. 그리고 인간의 아는 능력은 그 사람의 생물학적 완전성에 의존한다. 나아가 인간은 자신이 안다는 것을 안다.
기본적인 심리적 기능으로서의, 따라서 생물학적 기능으로서의 인지는 인간이 우주를 다루는지침이 되며, 지식은 인간 행동에 확실성을 부여한다.
객관적인 지식은 가능한 것처럼 보이며, 객관적인 지식을 통해 우주는 체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것처럼 나타난다.
우리가 전달 가능하다고 믿는 객관적 지식이란 언제나 듣는 사람이 창조해야만 한다. 즉 객관적 지식이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순간은 오로지 듣는 사람이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을 때뿐이다.
그러므로 “인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반드시 지식과 아는 자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해 아는 자가 갖춘 아는 능력에 대한 이해를 거쳐 발생해야만 한다.
『자기생성과 인지』에서 마뚜라나와 바렐라는 살아있는 체계를 관찰과 기술의 대상 혹은 상호작용하는 체계가 아니라, 오직 자기만을 준거하는 자족적 단위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들은 이른바 자율적이고 자기준거적이며 자기구축적인 폐쇄적 체계를, 즉 자기생성체계를 상정한다.
자기생성은 살아있는 체계의 조직을 특성화하는 데 있어서 필요충분조건이며 적절한 역사적 우연성들이 주어진다면 우리는 살아있는 체계를 물리적 공간 내의 자기생성체계로 특징짓는 과정에 의해서 모든 생물학적 현상학을 도출할 수 있다.
『자기생성과 인지』의 1부 「인지생물학」은 철학의 역사에서 새로운 출발을 표상하며, 오늘날 구성주의로 알려진 학파의 핵심적인 문헌이 되었다. 이 글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인지 과정을 연구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그로써 한때 철학의 중심 영역이었던 지식 이론, 즉 인식론은 과학 분야로 전환된다. ― 베른하르트 푀르크젠, 미디어학자, 『불확실성의 확실성』 지은이
이제 우리는 300년 이상 서양의 과학과 철학을 괴롭혀 온 데카르트적 정신과 물질의 구분을 극복하는 과학 이론의 윤곽을 갖게 되었다. 최초로 마음, 물질, 생명을 통합하는 과학이론이 등장했고 이것이 움베르또 마뚜라나의 가장 큰 업적이다. ― 프리초프 카프라, 물리학자, 시스템 이론가, 『생명의 그물』의 지은이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Autopoiesis and Cognition: The Realization of the Living)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 아우또노미아총서 82, Mens / 21,000원 / 336쪽 / 2023.11.3. 출간 / 130*188mm

지은이
움베르또 R. 마뚜라나 Humberto R. Maturana, 1928~2021
칠레 산티아고 출생. 인지생물학자, 신경철학자. 그는 바렐라와 함께 자기생성 개념을 창안하고 살아있는 존재가 분자 자기생성체계라는 점을 증명, 사회학, 인공지능, 조직이론, 가족치료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었다. 1948년 칠레 의대 입학,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신경생리학과 해부학 연구, 1958년 하버드대학 생물학 박사 학위 취득, 1965년 칠레대학에 과학연구소와 과학학부를 설립했다. 1994년에 칠레 자연과학 훈장을 받았다. 벨기에, 스페인, 칠레의 대학들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노벨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2000년에 씨메나 다빌라 야네쓰와 함께 <마뜨리스티카 연구소>를 설립했다. 『자기생성과 인지』(공저), 『앎의 나무』(공저), 『있음에서 함으로』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프란시스코 J. 바렐라 Francisco J. Varela, 1946~2001
칠레 탈카우아노 출생. 생물학자, 신경현상학자. 마뚜라나와 함께 자기생성 개념을 창안. 칠레 가톨릭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967년 칠레대학에서 생물학 석사학위, 1970년 하버드 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 취득. 1980년 칠레대학 생물학 교수로 재직, 1986년 프랑스 에콜폴리텍에서 인지과학과 인식론을, 파리대학에서 신경과학을 가르쳤다. 1988년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의 연구 책임자였다. 1970년대에 티벳 불교도가 된 그는 과학과 불교의 대화 촉진을 위해 1987년 <마음과 생명연구소>를 설립했다. 『자기생성과 인지』(공저), 『앎의 나무』(공저), 『윤리적 노하우』, 『몸의 인지과학』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옮긴이
정현주 Chung Hyun Joo, 1965~
전남대학교 철학과 학술연구교수. 대승불교의 하나인 유식사상의 유식무경(唯識無境) 종지와 알라야식연기를 마뚜라나의 관찰하기의 존재론 및 실재에 대한 논의와 비교하는 연구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뚜라나의 사상 및 그 문화적·사회적 함축에 주목하면서 그의 자연철학과 유식불교와의 교차점을 분명히 하는 일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면서 마뚜라나의 문화의 생물학을 기반으로 예술과 문화비평을 시도하고 있다. 『자기생성과 인지』는 첫 번째 역서이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북스리브로(오프라인)
 
지역서점 
[서울]  그날이오면  풀무질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2 '네팔.. 어떻하나. 네팔' _ 네팔의 지진이야기 어깨꿈 2015.04.30 10484
441 '소수적 문학 읽기' 세미나 file ADMIN 2015.03.13 8747
440 '자립예술' 프로젝트에 참가할 장애여성 모집 file ADMIN 2015.03.13 10835
439 '태풍' 레끼마, 오후 9시께 소멸…크로사, 주중 동해로 나들잎 2019.08.12 1985
438 (미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o^ file 큰별이될여인 2018.12.27 1644
437 (미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o^ file 가야금을타는옥매향 2020.12.29 5082
436 1026일의 미소 file 어깨꿈 2015.06.12 8996
435 10기 장애여성학교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한글반) 장애여성공감 2019.04.17 1888
434 10억을 받았습니다. 어깨꿈 2015.09.06 10375
433 2013정기공연 <이웃> 보러오세요! file ADMIN 2015.03.13 8667
432 2015년 직업재활 국제 학술대회 열린다 ADMIN 2015.03.13 9008
431 2015년에 노들장애인야학이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에 인정되었습니다. '노들장애인야학'을 소개하는... file 노들야학 2015.07.26 8610
430 2016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접수 협조 및 수요현황 제출 file 어깨꿈 2015.12.13 11537
429 2019년 ‘뽀꼬 아 뽀꼬’ 음악회 참가자 모집 file 장애인먼저실천운동 2019.03.06 1776
428 2020 서울예술교육 아카데미 강연과 토크<가치의 재설정> 1 file 서울문화재단예술교육 2020.10.14 3808
427 2020 서울예술교육 아카데미 예술교육가 인터뷰 공모<질문의 재구성> file 서울문화재단예술교육 2020.10.14 3849
426 2020년도 다들 건강과 행복과 축복을 보물섬 2020.01.05 2701
425 2021년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사업 선정 <소리컬 몬스터 할아방>에 초대합니다 file 리아 2021.12.02 781
424 2022년 겨울 인권교육 직무연수가 시작됩니다.(제39기 23. 1.9 ~ 23. 1. 11) file 인권연대 2022.11.28 602
423 2022년 웹마스터 훈련생 모집 file 정립회관직업지원팀 2021.11.18 680
422 2022년도 어느새 반이 지나갔어요 qwwheons 2022.05.24 676
421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dhtjqkd01 2023.01.03 596
420 21년도 마지막 자격증 취득반 수강생 모집 중 조자숙팀장 2021.10.06 702
419 2학기에 노들장애인야학 체육대회를 제안합니다. 2 file 어깨꿈 2016.09.02 1779
418 365일 매일읽는 긍정의 한 줄 (november26) 혜정이 2021.02.14 35159
417 48가지의 감정이 무엇일까요 1 어깨꿈 2015.12.20 10391
416 Aisa and Pacific Disability Forum(APDF) Press Statement on Earthquake in Nepal 어깨꿈 2015.05.04 9167
415 SBS 나온 수연언니랑 아버님 - 부양의무제 좀! 1 뉴미 2015.09.08 9070
414 with 코로나 드디어 현실이 되었습니다 정길정 2021.11.04 18048
413 [365일, 인권이다] 첫 번째 캠페인 : 팥죽 한 그릇 365기금 후원하기 1 file nodl 2015.12.13 103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