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수적 문학 읽기' 세미나

by ADMIN posted Mar 1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과 수유너머가 함께하는 현장인문학 집중세미나 8번째
'소수적 문학 읽기'


멀리 있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노들야학과 수유너머R이 함께하는 ‘현장인문학’에서는
'다른 삶'을 촉발하는 이야기들을 읽고, 말하고, 노래합니다!


다른 삶을 살며 그런 삶을 촉발하는 소수적 문학들을 함께 읽습니다.
또한 다양한 문학작품들을 통해 ‘함께-삶’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들이 무엇인지 바라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로부터 다른 삶의 가능성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익숙한 관계, 익숙한 이야기, 익숙한 시선으로부터 여행을 떠나는 시간!
함께 출발해볼까요!


시즌 1. 소수적 문학이란?
- “적극적인 의미에서 문학은 삶이라는 장 안에서 다른 종류의 삶을 창안하는 것, 그런 삶으로 우리를 촉발하고 그런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변용하며, 그럼으로써 이미 다른 삶을 사는 활동이다. 문학작품이란 다른 종류의 삶을 생산하는 기계이다. - <들뢰즈와 문학-기계> 중

- 참고자료, 『전태일 평전』 , 「4부 전태일 사상」 중 (1주)
- 참고자료, 『들뢰즈와 문학기계』, 「문학-기계와 횡단적 문학」 (이진경) (1주)


시즌 2. 카프카 읽기
- 카프카 단편소설에는 벌레, 원숭이, 알 수 없는 휘파람을 부르는 여가수가 등장합니다. 불려지는 인간이기를 거부한/당한 이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말하고, 노래하고 싶어하는지 알아보려합니다.

* 카프카 생애 (1주)
참고자료, 『너는 네가 되어야 한다』, 「탈출하려면 변신하라」 - 박정수
참고자료, 『카프카, 권력과 싸우다』, 「2장 권력의 세계를 ‘쓰는 인간’」 - 박홍규
* 「변신」 읽기 (1주)
*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읽기 (1주)
* 「요제피네 여가수」 읽기 (1주)


시즌 3. ‘함께-삶’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장애-인을 만드는 것은 무엇인지, 우정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는 작품들을 함께 읽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나’의 세계를 요구하는 사회에 다시금 ‘함께-삶’ 대해 묻고, 말하고, 노래하고자 합니다.

「우상의 눈물」 -전상국 (1주)
「키 작은 프리데만 씨 」– 토마스만 (1주)
『가장 푸른 눈 』 - 토니모리슨 (2주)
『주홍글씨』 - 나다니엘 호손 (2주)
『다섯째 아이』 - 도리스레싱 (1주)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 미셸투르니에(3주)


*함께하고 싶은 분들은 수유너머R 현장인문학 게시판에 이름과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댓글로~
수유너머R 현장인문학 게시판 = http://commune-r.net/xe/index.php?document_srl=2905081&mid=hyunjang



002s.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 즐거운 오후에 1 file 어깨꿈 2015.06.10 8545
380 즐거운 불금! 김지아 2024.01.19 443
379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 중위소득 발표에 대하여 ^^ 논평이 나왔어요. 어깨꿈 2015.04.26 10594
378 주말 봉사활동 한번 가보고 싶네요. 김성균 2023.10.14 551
377 좋은글 김지아 2024.01.13 415
376 좋은 글 단어를 발견해 안내합니다 이지호 2023.05.16 588
375 조호연의 시입니다. 조호연 2019.03.24 1725
374 조호연 학생이 판매합니다 file 조호연 2023.08.01 514
373 조호연 시입니다 1 조박사 2018.06.24 1823
372 조호연 시 조호연 2019.03.29 1755
371 조승하 삼행시 1 조승하 2016.04.13 8412
370 제9회 “뽀꼬 아 뽀꼬” 음악회 관람 안내 file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2018.09.21 1601
369 제9기 장애인연극아카데미 수강생 모집 file 심슨 2017.04.04 1691
368 정애등급제 폐지에 그린라이트를 file 어깨꿈 2015.05.29 8659
367 정신장애인복지지원법 제정을 위한 투쟁이 시작됩니다 file 노들야학 2015.09.02 8670
366 정말 좋은 사람 최재후 2020.07.03 3278
365 접근성과 감각에 대한 전시 <초대의 감각>에 초대합니다. file 유선 2021.05.09 4880
364 전문가와 함께하는 사회복지사 취득과정! 조자숙팀장 2020.10.20 3989
363 전문가들 ... 어깨꿈 2015.05.17 8561
362 저에게 용기를 file 어깨꿈 2015.05.28 8814
361 저두 제 이름으로 이행시 지어보겠습니다. 연가을Love 2016.04.23 8022
360 저 당분간 또 노들야학 못갑니다 (은애) 2 강성훈빠순이 2017.02.06 1823
359 장애학생 미술 공모전 ‘그리다 꿈’ 출품작 모집한다 ADMIN 2015.03.13 9668
358 장애학, 누구와 더불어 무엇을 할 것인가? 뉴미 2015.05.19 8714
357 장애인전용주차의 모든 것 노들야학 2015.11.19 8725
356 장애인이동권증진을 위한 서울시 선언 1 어깨꿈 2015.12.06 8394
355 장애인의 41.4%가 초등학교 졸업 이하로 살아간답니다! 어깨꿈 2015.04.26 8538
354 장애인언론 '비마이너'에게 힘 한모금을 보내주세용 file 어깨꿈 2015.09.02 8537
353 장애인등 교통약자의 시외이동권 판결이 오늘 있었습니다. 일부 승소했습니다. 어깨꿈 2015.07.10 8395
352 장애인 횡단 위한 건널목 설치 권고 이행 논의한다 file ADMIN 2015.03.13 88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