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65일, 인권이다] 첫 번째 캠페인 : 팥죽 한 그릇 365기금 후원하기

by nodl posted Dec 1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odl로 계속 올리고 있었던 노들야학에 명희 입니다, 글을 누르시는분은 꼭 알수있도록 다음엔

이렇게 저의 메시지를 남겨야 겠어요 :)

 

매년 서울역에서는 거리에서 죽어간 홈리스 분들을 추모하는 추모제가 동짓날 열립니다. 올해에도 다음주 화요일 22일(화)7시 에 노숙인추모제가 서울역에서 진행됩니다. 그전에 광화문농성장 부근에서 홈리스 추모관도 설치하고, 주간 선포 기자회견도 진행이 되는데요. 주간선포 기자회견>>

-내일, 14일(월) 2시 광화문광장 에서 주간선포 기자회견이 진행됩니다.
- 노들야학 명학님이 연대발언으로 함께 합니다.
*인권재단 사람 기금마련 정보도 링크로 남깁니다 :)

http://www.hrcenter.or.kr/load.asp?subPage=610&board_md=view&idx=4604

 

[365일, 인권이다] 첫 번째 캠페인

팥죽.jpg

 

 

팥죽 한 그릇, 거리에서 함께 나눕니다.

 

서울역, 영등포역, 광화문역, 을지로역... 출퇴근하는 사람들과 쇼핑객으로 하루 종일 북적거리는 이곳에 밤이 되면 덮을 만한 얇은 이불과 숨겨두었던 박스를 찾아 모이는 이들이 있습니다. 코를 시큰거리게 하는 냄새도, 실패자라는 낙인의 시선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종교기관에서 나눠주는 국밥 한 그릇 챙겨 먹으며 고단한 하루를 달랩니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제일 긴 날, 동지.

 

일 년 중 가장 추운 날이라 거리에서 세상을 떠난 홈리스들이 가장 많습니다. 살 곳도 불안정하고, 많은 질병에 노출되어 있어 매년 300명 넘는 홈리스들이 거리에서 생을 마감한다고 합니다.

“죽음엔 순서가 있는 것 같다”고 인권활동가들은 말합니다. 무연고로 쓸쓸한 죽음을 일상처럼 마주하지만 홈리스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제대로 된 의료와, 주거와, 급식이 될 수 있게 요구합니다. 개인의 무능을 탓하기 전에 홈리스 복지정책이 과연 탈 노숙을 권하고 있는지 되묻고 있습니다. 생명이 헛되이 여기지 않고 죽음의 행렬이 가속되지 않도록 행동합니다.

 

 

팥 죽 한 그릇 동짓날 나눠 먹으며, 홈리스 인권을 생각합니다.

 

고대의 사람들은 동지를 기점으로 낮이 조금씩 길어지기 때문에 이를 태양이 부활하는 것으로 여겼다고 합니다. 죽음을 추모할 뿐 아니라 홈리스 인권이라는 태양이 다시 떠오를 수 있는 날이 되길 바랍니다.

 

 

2015년 12월22일 동짓날, 거리에서 죽어간 홈리스들을 기억합니다.

 

 

365기금. 365만원을 모아 팥죽 한 그릇을 나눕니다.

홈리스 야학비용과 거리상담 진행에 쓰일 커피 한 잔 값을 보탭니다.

 

 

팥죽 한 그릇, 365만원 하얀 새알심이 모아질 수 있게 함께해주십시오.

 

 

 

팥죽 한 그릇 365기금 후원하기

신한은행 100-029-833027 재단법인 인권재단 사람 

후원바로가기 : http://goo.gl/qjPCwr

 

 문의) 인권재단사람 모금기획팀 02-363-5855

 

※ 365기금은 시민들이 함께 만드는 사회적 인권기금으로 인권활동가들의 복지증진과 인권운동 지원으로 온전히 사용됩니다.

Comment '1'
  • profile
    핀순 2015.12.13 21:17
    365개의 하얀 새알심이 모이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 새 책! 『탈인지 ― SF로 철학하기 그리고 아무도 아니지 않은 자로 있기』 스티븐 샤비로 지음, 안호성 옮김 갈무리 2022.11.12 562
112 초대! 『에일리언 현상학』 출간 기념 저자 이언 보고스트 화상 강연회 (2022년 12월 3일 토 오전 11시) 갈무리 2022.11.17 554
111 새 책! 『사회해방과 국가의 재발명』 보아벤투라 드 소우자 산투스 지음, 안태환 옮김 갈무리 2022.11.20 528
110 낭독모임 바다로가 노들장애인야학에게 다산에살다 2022.11.21 542
109 인권연대 제24기 청년인턴 모집(12/7마감) file 인권연대 2022.11.21 541
108 2022년 겨울 인권교육 직무연수가 시작됩니다.(제39기 23. 1.9 ~ 23. 1. 11) file 인권연대 2022.11.28 602
107 새 책! 『광장과 젠더 ― 집합감정의 행방과 새로운 공동체의 구상』 소영현 지음 갈무리 2022.12.14 531
106 초대! 『탈인지』 출간 기념 저자 스티븐 샤비로 화상강연 (2022년 12월 17일 토 오전 11시) 갈무리 2022.12.14 519
105 추운겨울날씨에 김변기 2022.12.17 1042
104 어려운 시기일수록 긍정적인 마인드로 살아가길... 박건주 2022.12.29 540
103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dhtjqkd01 2023.01.03 598
102 새 책!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 캐서린 헤일스, 캐리 울프, 그레이엄 하먼』 이동신 지음 갈무리 2023.01.07 580
101 목도리 팝니다 file 조호연 2023.01.14 574
100 [인권연대 기획강좌] 우리가 몰랐던 '더 넓은 세계사'(2/2~3/9) file 인권연대 2023.01.16 547
99 새 책! 『사변적 실재론 입문』 그레이엄 하먼 지음,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3.01.25 554
98 초대!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출간 기념 이동신 저자 강연 (2023년 2월 12일 일 오후 3시) 갈무리 2023.01.31 598
97 날씨가 많이 따뜻해졌네요 후닝 2023.02.23 586
96 새 책! 『카메라 소메티카 ―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회화와 영화』 박선 지음 갈무리 2023.02.23 551
95 [인권연대 기획강좌] 윤석열 정권과 인권(4/4~5/9) 인권연대 2023.03.03 531
94 초대! 『카메라 소메티카』 출간 기념 박선 저자와의 만남 (2023년 3월 25일 토 오후 2시) 갈무리 2023.03.09 532
93 새 책! 『우리는 당신들이 불태우지 못한 마녀의 후손들이다』 실비아 페데리치 지음, 신지영·김정연·김예나·문현 옮김 갈무리 2023.03.13 1344
92 화창한 봄이 다가왔습니다 흰윤정 2023.04.01 1077
91 가입인사드려요 김지은 2023.04.06 580
90 이제 완연한 봄입니다. 백민철 2023.04.08 563
89 새 책! 『이방인들의 영화 ― 한국 독립영화가 세상과 마주하는 방식』 이도훈 지음 갈무리 2023.04.14 587
88 봉사를 마치며... 백민철 2023.04.25 636
87 비가 많이 옵니다 팔미온 2023.05.07 556
86 비가 한참 오더니.. 감사히 2023.05.08 507
85 새 책! 『실재론적 마술 ― 객체, 존재론, 인과성』 티머시 모턴 지음, 안호성 옮김 갈무리 2023.05.09 525
84 [할인 50%행사] 사회복지사 2급 / 보육교사 2급 / 한국어교원 2급 / 평생교육사 2급 준비 걱정없으십니다!! 찬란한학습자 2023.05.10 5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