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운겨울날씨에

by 김변기 posted Dec 17,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말 사이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추위에 떤 사람이 많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두꺼운 옷, 목도리 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평소 체온 상승에 도움되는 습관들을 실천하는 것도 좋다. 체온을 상승시키는 의외의 방법들을 알아본다.

▷근육 키우기=근육은 체내 열을 만드는 공장이다. 체열의 40% 이상이 근육에서 만들어진다. 사람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근육이 수축·이완을 반복하며 열을 낸다. 또 근육이 부족하면 혈액이 몸 구석구석 퍼져나가지 못해 체온 조절이 잘 안 된다. 심장에서 만들어진 따뜻한 혈액은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나가야 한다. 이로 인해 근육이 감소한 노인이나 식단을 극단적으로 줄여 체중을 줄인 사람은 추위를 유독 잘 탄다. 노인도 근력을 키우면 겨울에도 체온 유지가 잘 되는 편이다.

▷과식 피하기=추위를 이겨내려면 많이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다. 많은 양의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위장으로 혈액과 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근육, 뇌, 등으로 가야 할 혈액이 줄면서 체온이 떨어진다. 추우면 가만히 있어도 몸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인 '기초대사량'이 약간 높아지는 게 사실이다(기온 10도 내려가면 3% 증가). 하지만 이를 위해 음식을 더 먹을 필요는 없다. 추운 날씨에 바깥 활동을 덜 해서 에너지 소모량이 주는 것이 상쇄된다.

▷단백질 식품 섭취=음식을 먹으면 일정 비율이 열을 내는 데 쓰이는데, 단백질이 다른 성분에 비해 그 비율이 높은 편이다. 지방은 섭취량의 3%, 탄수화물은 8%만 열을 내는 데 쓰이지만 단백질은 25%나 된다. 단백질은 그 자체가 열을 낼 뿐 아니라, 단백질을 먹어서 열을 만들어내는 근육이 늘어나는 것도 체온 유지에 기여한다. 단, 소고기·돼지고기 같은 적색 고기는 혈액을 끈적하게 만들어 겨울철 심근경색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닭고기·우유·치즈·생선 등으로 섭취하는 게 안전하다.

▷음식 씹는 횟수 늘리기=음식을 여러 번 씹어 먹으면 체온이 높아진다.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머리와 얼굴 전체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입에 음식을 넣었을 때 30회 정도 씹고, 이를 위해 식사 시간도 20~30분을 지키는 게 좋다. 음식 씹는 횟수를 자연스럽게 늘리기 위해 많이 씹어야 하는 음식을 자주 먹는 것도 방법이다. 아몬드 등 견과류나 우엉, 연근, 녹황색 채소가 적당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화창한 봄이 다가왔습니다 흰윤정 2023.04.01 1092
» 추운겨울날씨에 김변기 2022.12.17 1051
142 영화반 수업 링크 file 승천 2021.10.07 903
141 [연세대학교] "고기능자폐스펙트럼" 청소년/성인 분노조절 개선 인지행동치료 앱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중 file 연세대학교디지털정신건강연구실 2022.02.23 830
140 2021년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사업 선정 <소리컬 몬스터 할아방>에 초대합니다 file 리아 2021.12.02 811
139 [이:음 예술창작 아카데미] 신체와 감각을 잇는 피지컬 인터페이스 디자인 워크숍 참여자 모집 file 아카데미 2021.10.28 738
138 초대! 『예술과 객체』 출간 기념 그레이엄 하먼 전 지구 인터넷 화상 강연회 (2022년 4월 17일 일 오후 1시) 갈무리 2022.03.19 718
137 21년도 마지막 자격증 취득반 수강생 모집 중 조자숙팀장 2021.10.06 711
136 새 책!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연속성에 반대한다』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지음,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2.05.11 704
135 새 책!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갈무리 2023.11.12 696
134 힘이나는 명언모음 graa 2023.06.16 696
133 비가 많이 내렸는데 다들 피해 없이 잘 지나셨길 바랍니다! 오니카 2023.07.18 692
132 2022년 웹마스터 훈련생 모집 file 정립회관직업지원팀 2021.11.18 692
131 2022년도 어느새 반이 지나갔어요 qwwheons 2022.05.24 688
130 새 책! 『예술과 객체』 그레이엄 하먼 지음,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2.03.01 687
129 얼른 코로나가 끝났으면 좋겠어요.ㅠ 나람이 2022.01.26 658
128 [이:음 예술창작 아카데미] 로블록스를 활용한 가상공간 구현 워크숍 참여자 모집 file 아카데미 2021.10.28 656
127 사람의 이름이 향기이다 최재후 2021.10.06 654
126 오늘의 명언 나람이 2022.04.27 649
125 [인권연대] 이희수 교수의 <인류본사> 강연: 중동-오리엔트 문명, 인류 문명의 뿌리를 찾아서 file 인권연대 2022.07.18 648
124 봉사를 마치며... 백민철 2023.04.25 645
123 초대! 『감각과 사물』 출간 기념 김은성 저자 강연회 (2022년 3월 13일 일 오후 3시) 갈무리 2022.03.07 645
122 ◆ 보육.교사 장학 혜택받고 노후대비, 재취업 준비 ◆ 올로쌤 2021.10.24 641
121 새 책! 『감각과 사물 ― 한국 사회를 읽는 새로운 코드』 김은성 지음 갈무리 2022.01.27 640
120 [인권연대] 제 19기 청년인권학교 file 인권연대 2022.07.12 639
119 [50%할인이벤트] 사회복지사2급 / 보육교사2급 / 한국어교원2급 / 평생교육사2급 자격증 준비 걱정없습니다!! 그루쌤 2023.06.05 637
118 흔들리며 피는 꽃 김민희1 2022.06.25 637
117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file 가야금을타는신사임당 2022.01.30 636
116 코로나백신 후휴증으로 고생했는데 독감예방 접종해야하나 정한결 2022.10.22 634
115 항상 힘냅시다. 좋은 글 모음 graa 2023.06.15 6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