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상 일기] 나의 깃발 / 홍은전

by 어깨꿈 posted Apr 27,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상 읽기] 나의 깃발 / 홍은전

 

등록 :2016-04-25 19:05

 

 

야학 학생 김아무개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건 그의 장례가 끝난 직후였다. 갑작스런 부음도 믿기 어려웠지만, 그가 이미 화장되어 납골당에 안치되었다는 사실에 우리는 모두 할 말을 잃었다. 3일 전 그는 소주 세 병을 마신 후 축 늘어진 채 잠이 들었고 그날 밤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고 했다. 그의 죽음을 발견한 활동보조인은 충격에 빠져 어찌할 줄 몰랐다 했고, 가족들은 그가 ‘혼자’의 몸이었으므로 빈소를 차리지 않으려다가 기초생활수급자 장례지원단의 설득으로 삼일장을 치렀다고 했다. 그리고 하필 그날 그의 핸드폰이 켜지지 않았다고 했다.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우연들이 겹쳐 그는 15년을 함께 보낸 벗들과 단 3일의 이별의식조차 갖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2001년 그를 처음 만났다. 뇌병변 장애인인 그는 학교를 다니지 못했고 술에 취해 자신을 때리던 형제에 대한 상처가 있었다. 열아홉에 복지관에 나가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으나 속도가 더딘 그는 거기서도 배제되었다. 장애인의 날, 직원들이 장애인들의 머릿수를 센 후 차에 태워 올림픽공원에 풀어놓는 걸 보고 ‘천사 짓’을 그만두었다고 했다. 서른이 되어 야학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 그가 원했던 건 ‘사람들이 자신을 함부로 대하지 않게 하는 법을 찾는 것’이었다. 술과 이야기를 좋아하는 유쾌한 사람이었다. 한글은 좀처럼 늘지 않았으나 누구보다 배움을 갈구했다. 몇 년 전 독립했고 술을 많이 먹었고 자주 넘어졌다. 상처를 달고 살았다.

 

 

만날 때마다 낄낄대며 타박했던 그가 이렇게 감쪽같이 사라질 수 있는 사람이었다는 걸 그의 죽음이 적나라하게 깨우쳐주던 밤. 후회인지 그리움인지 알 수 없는 감정에 휩싸여 어린아이처럼 목 놓아 울었다. 그는 술을 끊었다가 얼마 전부터 다시 먹었다고 했다. 빈속에 부어댄 술의 숙취보다 끔찍한 것은 자꾸만 실패하는 못난 자신을 견디는 일이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야학에 왔던 날, 그는 몸이 아팠다고 했다. 집으로 돌아간 그는 그 아픈 몸에 3일 동안 술을 부었다. 작은 방 한켠에 축 늘어진 채 잠들어 있는 그의 곁에 아무도 없었다는 것이 참을 수 없이 슬펐다. 그들의 삶을 모르지 않았다. 알면 알수록 감당하기 어려웠으므로 열심히 도망치듯 살아오지 않았나. 그러나 안다고도 할 수 없었다. 알았더라면 그 삶에 그토록 함부로 훈수를 두지는 않았을 것이다.

 

 

뒤늦게 마련된 추모제에서 영상 속 그를 보았다. 그는 니체를 읽었고, 연극을 했다. 텃밭에 가서 열무를 뽑았고, 초등학교에 가서 인권 교육을 했다. 그것들은 모두 학생들의 깊은 무기력과 냉소, 우울과 싸워보겠다고 교사들이 기를 쓰고 만들어낸 것들이었다. 사람들은 당시의 기쁨과 희망, 짜증과 실망을 떠올리며 희미하게 웃었다. 우리는 그가 우리에게 남겨준 빛나는 추억을 보고 있었으나 동시에 그가 홀로 견뎌야 했을 외로움과 공허, 환멸의 깊이를 보고 있었다. 그의 삶이 밑 빠진 독 같았다. 일개 야학의 노력으로는 결코 채울 수 없는 거대한 결핍. 그에겐 왜 그만큼의 기회밖에 주어지지 않았나.

 

 

뒤늦게 새로운 삶을 꿈꾸며 그들은 가족과 시설로부터 자립했다. 그러나 가족에게 소외되고 학교로부터 거부당하고 일자리를 얻지 못해 생긴 그들 삶의 거대한 공백은 몇 개의 복지 프로그램으로는 절대 해결될 수 없는 것이다. 사방이 꽉 막힌 삶. 그는 출구의 열쇠를 얻고 싶어 했다. 야학을 한다는 건 그와 함께 니체를 읽고 연극을 하며 열쇠 찾기를 멈추지 않는 것이었고, 우리에게 장애인 운동이란 기어이 출구를 만들어내는 것이었다. 4월7일, 우리의 깃발 하나가 사라졌다. 무력함을 견디며 쓴다.

 

 

 

홍은전 작가·노들장애인야학 교사

 

 

홍은전 작가·노들장애인야학 교사

 

 

 

TA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4 안녕하세요 ~ 표준 2023.09.05 493
413 봉사활동 문의 성훈이 2023.09.25 493
412 새 책! 『#가속하라 : 가속주의자 독본』 로빈 맥케이 · 아르멘 아바네시안 엮음, 김효진 옮김 갈무리 2023.10.08 494
411 모자 팝니다 조호연 2023.12.22 498
410 가방 두개 팝니다 조호연 2023.12.28 498
409 새 책! 『동아시아 영화도시를 걷는 여성들』 남승석 지음 갈무리 2023.09.11 499
408 [재업] [인권연대] 2023년 겨울 제41기 인권교육 직무연수가 시작됩니다.(24년 1월 9일~11일) 인권연대 2023.12.17 499
407 사랑하는 사람 VS 사랑받는 사람 이하나 2023.08.01 510
406 [인권연대] 수요대화모임(2023. 6. 28) - 김진애(전 국회의원)에 초대합니다. 인권연대 2023.06.23 517
405 비가 한참 오더니.. 감사히 2023.05.08 520
404 노들장애인야학 유튜브 구독, 좋아요~! 노들야학 2023.07.07 520
403 새 책! 『문두스』 김종영 지음 갈무리 2023.07.12 521
402 노들장애인야학 좋습니다. 우아악 2023.08.02 521
401 새 책! 『예술과 공통장 : 창조도시 전략 대 커먼즈로서의 예술』 권범철 지음 갈무리 2024.02.12 521
400 오늘 날씨는.. 권형호 2022.11.10 522
399 [인권연대] 제40기 교사 인권교육 직무연수 인권연대 2023.06.22 525
398 초대! 『자기생성과 인지』 출간 기념 정현주 역자와의 만남 (2023년 12월 3일 일 오후 2시) 갈무리 2023.11.27 525
397 초대! 『탈인지』 출간 기념 저자 스티븐 샤비로 화상강연 (2022년 12월 17일 토 오전 11시) 갈무리 2022.12.14 530
396 추석잘보내세요 감사히 2023.09.28 530
395 조호연 학생이 판매합니다 file 조호연 2023.08.01 532
394 발달장애 아동과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공연, 소리컬 <하늘 땅 바다 그리고 별> 소개합니다. 리아 2023.11.20 532
393 안녕하세요. 가입 인사 올립니다 ^^ CHANGS 2023.06.20 533
392 가입인사 ^.^ 뤼스펙트 2023.08.04 537
391 새 책! 『사회해방과 국가의 재발명』 보아벤투라 드 소우자 산투스 지음, 안태환 옮김 갈무리 2022.11.20 538
390 초대! 『카메라 소메티카』 출간 기념 박선 저자와의 만남 (2023년 3월 25일 토 오후 2시) 갈무리 2023.03.09 540
389 [인권연대] 제24기 청년인턴 모집 file 인권연대 2022.11.11 540
388 [인권연대 기획강좌] 윤석열 정권과 인권(4/4~5/9) 인권연대 2023.03.03 540
387 안녕하세요..노들장애인야학 좋은 기억으로 남았습니다. 백민철 2023.06.26 541
386 노들장애인야학 응원중 백민철 2023.08.04 541
385 [인권연대] 117차 수요대화모임(2023년 11월 22일) - 호사카 유지(세종대 교수) 인권연대 2023.11.14 5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