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어차피 깨진 꿈

by 노들지킴ㅇ; posted Feb 06,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홍은전.jpg

 

홍은전( 작가·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집시법 위반으로 2년6개월 형을 구형받은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의 최종 선고일이 모레로 다가왔습니다. 존경하는 재판장님, 긴 탄원의 행렬에 합류하기 위해 많은 글을 읽어보았습니다. 검찰의 공소장은 달랑 7쪽인 데 비해, 변호인단의 변론서는 110장이 넘고, 탄원서는 7천장에 가까웠습니다. 낙인을 찍는 일은 간단하지만 그것을 지우는 일은 무척 어렵다는 걸 실감합니다. 어떤 사람의 평생이 필요한 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박경석의 꿈은 외항선을 타고 오대양 육대주를 누비는 ‘마도로스’였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1983년, 스물넷의 나이에 행글라이딩을 하다 사고로 장애를 입습니다. 5년을 집에서 보냈습니다. ‘허리 아래 괴물같이 달라붙은’ 하반신처럼 삶이 무감각했습니다. 그는 죽기로 결심합니다. 슬퍼할 어머니를 위해 집이 아닌 곳에서 죽기로 하죠. 고향인 대구가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서울에서 대구까지 갈 방법이 없습니다. 택시를 불러야 했지만 택시비도 없었죠. 마침 형이 성경을 백번 읽으면 용돈을 주겠다고 합니다. 죽기 위한 필사의 노력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그의 감각이 서서히 깨어나기 시작했죠.

 

  1994년 박경석은 노들장애인야학의 교사가 되었습니다.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던 청춘들과 어울리며 정을 나누는 것이 좋았습니다. 그러나 비장애인이던 교사들 대부분은 때가 되면 자신의 꿈을 찾아 떠났습니다. 마도로스가 되고 싶었던, 하늘을 날고 싶었던 그는 항구처럼, 공항처럼 그 자리에 남아 떠나는 동료들의 뒷모습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때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가 자신의 닉네임을 ‘어깨꿈’으로 정한 것이. 어차피 깨진 꿈. 어쩌면 그 뼈저린 포기가 그를 구원했는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합니다.

 

  2001년 2월6일 지하철 서울역 플랫폼. 한 무리의 장애인들이 선로 아래로 내려갑니다. 오이도역에서 리프트가 추락해 장애인이 떨어져 죽은 일에 항의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장애인이 한 달에 5번도 외출하지 못하던 시절이었습니다. 지하철이 30분간 멈추자, 30년간의 절망들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병신 새끼들. 선량한 시민들이 잔인한 말들을 쏟아냅니다. 그때 박경석이 이렇게 외칩니다. “좋습니다. 우린 병신입니다. 그러나 당당한 병신이고 싶습니다. 병신에게도 인간답게 살 권리가 있다는 걸 알려줍시다.” 순간, 현장에 있던 사람들의 가슴속에 작은 불씨가 켜졌습니다.

 

  그리고 공소장 맨 첫 페이지에 있는 그날, 2014년 4월20일. 우리는 여전히 이동할 권리를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것이 변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버스와 지하철을 타고 우리가 갈 수 있는 가장 먼 곳에 도착했으니까요. 그러니까 우리는 고속버스터미널에 있었습니다. 그곳엔 우리가 함께 탈 수 있는 버스가 단 한 대도 없었습니다. ‘차선을 넘었다’는 말은 이상합니다. 길은 없었으니까요.

 

  박경석 대표가 버스를 타고 대구로 가는 장면을 상상합니다. 터미널까지 오는 데 17년이 걸렸는데, 대구까지 가려면 얼마의 시간이 더 걸릴까요. ‘장애인과 함께 버스를 탑시다’라는 말을 하는 데 그의 인생 전체가 필요했습니다. ‘고작, 버스’라고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그가 싸워온 건 평생 자신을 옥죄던 굴레였고, 그 싸움이 그를 살게 했으므로, 저는 이 문장이 어쩐지 숭고하게 느껴집니다. 누군가의 평생이 있어야만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상식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은 고통스러운 위로입니다.

선처를 바랍니다.
 

[세상 읽기] 어차피 깨진 꿈 / 홍은전, 한겨레 신문, 2018년 2월 5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30925.html#csidx8768127df22b2b986281ab4fc01cf5f onebyone.gif?action_id=8768127df22b2b986


  1. 장애성인 ‘맞춤형’ 교육? “예산, 공간 지원 필요해”

    기존 장애인야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해교육의 한계를 보완하려면 장애 유형, 일상생활 기술 등을 반영한 맞춤형 문해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
    Date2015.03.13 Reply0 Views413 file
    Read More
  2. 억눌렸던 특수교육지도사 노동권...“참지 않겠다”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은 특수교사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아래 장특법)에 규정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존재가 있...
    Date2015.03.13 Reply0 Views772 file
    Read More
  3. 특수교육 지원 받는 장애영아, 5%도 못 미쳐

    장애영아에 대한 특수교육 지원이 사실상 전무한 현실이 드러났다. 이에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새정치민주연합...
    Date2015.03.13 Reply0 Views550 file
    Read More
  4. 누리과정 갈등에 특수교육 된서리, 부모·당사자 ‘뿔났다’

    만 3~5세 아동의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에 대한 부담 탓에 서울시교육청의 각종 교육복지 예산이 삭감될 위기에 처하자, 장애아동 부모와 장애인 당사자...
    Date2015.03.13 Reply0 Views468 file
    Read More
  5. 특수교사 법정정원 확보, 정부는 약속을 지켜라!

    정부가 애초 대선공약으로 약속했던 것과는 달리 특수교사 충원 계획을 대폭 축소한 것으로 알려지자, 전국 특수교육과 대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
    Date2015.03.13 Reply0 Views461 file
    Read More
  6. 박근혜 정부, ‘매년 특수교사 1500명 채용’ 공약도 파기?

    박근혜 정부가 매년 특수교사 1500명을 채용하겠다는 약속마저 파기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특수교육과대학생연합회(아래 특대연), 전국유아특수교육과...
    Date2015.03.13 Reply0 Views453 file
    Read More
  7. 가장 가난한 사람 골라내는 ‘가짜 복지’ 넘어서려면?

    "내 아이의 점심을 내가 책임지는 것은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바로 개인의 독립이며 자존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일은 내가 하는 것이지 국가가 대...
    Date2015.03.13 Reply0 Views342 file
    Read More
  8. 서북청년단으로부터 광화문 광장을 지켜야 할 이유

    얼마 전 독일의 반이슬람단체 ‘페기다’의 대표가 히틀러로 분장한 사진을 인터넷에 올렸다가 비난에 몰려 사퇴한 일이 있었다. 물론 분장만이 문제는 ...
    Date2015.03.13 Reply0 Views409 file
    Read More
  9. 인권위, ICC 심사 앞두고 토론회 열었지만 ‘썰렁’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가 올해 3월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 등급 심사를 앞두고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으나, 대다수 시...
    Date2015.03.13 Reply0 Views293 file
    Read More
  10. ICC 권고 수용한 인권위법 개정안, 여전히 ‘부족해’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 상반기 심사를 앞두고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가 인권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내놨으나 시민단체는 여전히 ICC ...
    Date2015.03.13 Reply0 Views28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